sub_visual01 sub_visual01
Seoul Financial Hub

알림∙소식

기타 사항

영세가맹점 카드수수료 부담 경감 및 향후 지속가능한 수수료체계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

관리자 │ 2022-06-22


[1] 적격비용 산정 결과에 따라, 영세한 가맹점이 수수료 부담 경감 혜택을 더 많이 볼 수 있도록 우대수수료율을 조정합니다.

 

연매출

구간

카드수수료율
(괄호 체크카드)

수수료율

감소분

(괄호 체크카드)

현행

변경

영세

3억 이하

0.8%(0.5%)

0.5%(0.25%)

△0.3%p
(△0.25%p)

중소

35억원

1.3%(1.0%)

1.1%(0.85%)

△0.2%p
(△0.15%p)

510억원

1.4%(1.1%)

1.25%(1.0%)

△0.15%p
(△0.10%p)

1030억원

1.6%(1.3%)

1.5%(1.25%)

△0.1%p
(△0.05%p)

 

[2] 소비자·가맹점·카드업계 중심으로 제도개선 TF를 구성하여 소비자, 가맹점, 카드사간 상생을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겠습니다.

 

[3] 향후 카드사가 결제·금융상품 추천·자금관리·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종합플랫폼 사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도 추진하겠습니다.

 


1

 

추진배경

 

□ ‘12년 이전, 업종별 수수료 체계 하에서는 가맹점 협상력 차이 등에 따라 영세 가맹점의 수수료가 높은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 협상력이 우월한 대형가맹점(최저 1.5%)과 일반가맹점(최대 4.5%)간 수수료 격차 존재

 

ㅇ 이에 국회 논의를 거쳐 ‘12년여신전문금융업법이 개정되어, 적격비용에 기반한 수수료 체계가 도입되었습니다.

 

 * 신용카드가맹점이 부담하는 것이 합당한 비용(이하 "적격 비용"이라 한다)만을 가맹점수수료율 산정에 반영하여야 함 (여전업감독규정 §25의4)

 

□ ’12년 이후 3년마다 적격비용 재산정 작업을 통해 카드수수료 개편안을 마련하여 적용중이며 (※12년 이후 총 3차례 재산정)

 

ㅇ 특히, ‘12년(0.33조), ’15년(0.67조), ‘18년(1.4조) 등 3차례에 걸친 수수료율 재산정을 통해 ’12년 이전과 비교시 수수료 부담이 이미 많이 낮아진 상태입니다. (누적 경감분 : 연간 2.4조원)

 

⟹ ’21년말 적격비용 재산정 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재산정 결과에 기초하여 우대수수료율 조정을 추진합니다. 

 

<그간 카드 수수료율 변동 경과 >

※       우대가맹점

신용카드 수수료율 (괄호 체크카드)

‘12년말 개편결과

‘15년말 개편결과

‘18년말 개편결과

2억원 이하

1.5%(1.0%)

0.8%(0.5%)

0.8%(0.5%)

2~3억원

2.12%(1.6%)

1.3%(1.0%)

3~5억원

2.09%(1.6%)

1.3%(1.0%)

5~10억원

1.4%(1.1%)

10~30억원

1.6%(1.3%)

30억원 초과

2.06%(1.47%)

연간 누적 절감 규모

(연간 추가 절감 규모)

약 3,300억원

(+3,300억원)

약 1조원

(+6,700억원)

약 2.4조원

(+1.4조원)

 


2

 

적격비용 재산정 결과

 

산정기준 및 절차

 

□ (산정기준) 자금조달비용위험관리비용일반관리비용승인·정산비용마케팅비용으로 구분하여 적격비용 산출

 

□ (산정절차) 회계법인의 검증절차를 거쳐 법적·회계적 기준에 비추어 공정·타당하게 적격비용을 산정하여 수수료율에 반영

 

 * (여전업감독규정 §25의4➀iii) 객관적으로 공정ㆍ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가맹점수수료율을 정하여야 한다.

 

나. 적격비용 산정 결과

 

□ ‘18년 적격비용 산정 이후추가적인 수수료 부담경감 금액은 0.69조원입니다.

 

ㅇ 다만, ‘18년 이후 가맹점 부담 경감을 위해 새로 시행한 정책으로 기경감된 금액*(연간 약 0.22조원)을 감안할 경우금번 추가 경감 금액 0.47조원입니다.

 

 * 카드사에 우대가맹점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지 않는 비대면 온라인 결제 사업자(2차 PG사의 하위사업자※)에 대해서도 우대수수료 적용토록 대상 확대(‘19.4월~) 등

 

 ※ 예) 온라인사업자 A는 다른 PG사의 하위가맹점인 PG사(2차 PG)를 통해 카드결제를 수납하고 있어서 실시간으로 우대수수료율이 적용되지 않고, 우선 일반 수수료율을 납부한 뒤 3영업일 뒤 환급(‘일반 – 우대수수료율’)받는 방식으로 우대수수료율 적용중

 

<주요 수수료율 하락요인>

➊ 금리인하에 따른 조달비용 감소

 

➋ 비대면 영업확대에 따른 인건비 및 영업비용 등 일반관리비용 감소

 

➌ 온라인 결제비중 증가에 따른 밴수수료비용 감소

 


3

 

카드 수수료율 조정

 

□ 금번 수수료율 조정대상 금액(약 4,700억원) 내에서 영세한 가맹점의 수수료 부담이 보다 많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수수료율을 조정합니다.

 

ㅇ 조정 금액의 약 60%를 연매출 3억 이하 영세가맹점에,

                 약 30%를 연매출 3~10억 중소가맹점에,
                 약 10%를 연매출 10~30억 중소가맹점에 배분합니다.

 

<신용카드>

연매출

구간

카드수수료율

수수료율

감소분

현행

변경

영세

3억 이하

0.8%

0.5%

0.3%p

중소

3∼5억원

1.3%

1.1%

0.2%p

5∼10억원

1.4%

1.25%

0.15%p

10∼30억원

1.6%

1.5%

0.1%p

 

<체크카드>

연매출

구간

카드수수료율

수수료율

감소분

현행

변경

영세

3억 이하

0.5%

0.25%

0.25%p

중소

3∼5억원

1.0%

0.85%

0.15%p

5∼10억원

1.1%

1.0%

0.10%p

10∼30억원

1.3%

1.25%

0.05%p

 

 

4

 

기대효과

 

[1] ‘18년 수수료 개편 이후 가맹점수수료 부담 추가 경감분은 연간 0.69조원으로, 최근 5년간 누적 경감분은 연간 2.1조원* 수준입니다.

 

 * ‘18년 수수료 개편방안 1.4조원 + ’21년 수수료 개편방안 0.69조원 약 2.1조원

 

ㅇ 우대수수료를 적용받는 가맹점 범위가 ‘17년 연매출 3억이하 → ’18년말 연매출 30억 이하로 크게 확대되었고(전체 가맹점의 96%)

 

ㅇ ‘18년, ’21년에 걸쳐 구간별 수수료율도 크게 낮아졌습니다.

 

 

수수료 인하
추이

수수료 인하 추이 - 12년말 연매출 2억원 이하:1.50% 연매출 2~3억원:2.12% 연매출3~5억원:2.12% 연매출5~10억원:2.12% 연매출10~30억원:2.12%, 15년말 연매출 2억원 이하:0.80% 연매출 2~3억원:1.30% 연매출3~5억원:2.09% 연매출5~10억원:2.09% 연매출10~30억원:2.09%, 18년말 연매출 2억원 이하:0.80% 연매출 2~3억원:0.80% 연매출3~5억원:1.30% 연매출5~10억원:1.40% 연매출10~30억원:1.60%, 21년말 연매출 2억원 이하:0.50% 연매출 2~3억원:0.50% 연매출3~5억원:1.10% 연매출5~10억원:1.25% 연매출10~30억원:1.50%

누적

수수료

경감

누적 수수료 경감 - 18년 개편효과(연간):1.4조원 누적효과(연간):1.4조원, 21년 개편효과(연간):0.69조원 누적효과(연간):2.1조원

 * ‘12년 이전 연매출 2억 이하는 약 3.6~4.5%, 연매출 2억 초과는 약 2.7~3.6% 내외 부담

 

[2] 금번 수수료 개편을 통해 연매출 3억이하 영세가맹점(약 220만개, 전체가맹점의 75%) 중심으로 수수료 부담이 크게 인하(△40%) 되었습니다.

 

ㅇ ’17년 이전과 비교시, 영세·자영업자가 모든 매출액 구간에서 고르게 수수료 부담 경감 혜택을 받을 예정입니다. 

 

<신용+체크카드 수수료 부담 감소율>

연간

매출액

가맹점수

‘18년 개편

(‘17년 比 감소율)

‘21년 개편

(‘18년 比 감소율)

‘17년 대비 ’21년 부담 감소율

연매출 3억이하

약 220만개 (전체가맹점의 75%)

최대 41%*

40%

최대 64%*

연매출 3~5

약 23만개 (전체가맹점의 8%)

37%

15%

47%

연매출 5~10

약 22만개 (전체가맹점의 7.6%)

33%

10%

40%

연매출 10~30

약 15만개 (전체가맹점의 5%)

23%

6%

27%

 ※ 신용카드+체크카드 수수료 부담 감소율을 가중평균한 수치

 

 * 영세가맹점 기준 개편(‘18)으로 수수료 부담 감소율은 가맹점별로 차이 존재

 


<신용+체크카드 수수료 납부액 감소 사례>

연간 매출액

구간

연간 매출 구성 사례

(예시)

연간 수수료 납부액

‘21년 - ’18

연간 부담

경감(B - C)

‘21년 - ’17

연간 부담 경감(A - C)

‘17년 이전(A)

‘18년 개편(B)

‘21

개편(C)

영세

(연매출 3억이하)

<CASE 카드매출 2
신용카드 매출 1.5억원 체크카드 매출 0.5억원

245만원

(신용 1.3%,
체크 1.0%)

145만원

(신용 0.8%,
체크 0.5%)

87.5만원

(신용 0.5%,
체크 0.25%)

57.5만원

(약 40%)

157.5만원

(약 64%)

중소

(연매출 3~5)

<CASE 카드매출 4
신용카드 매출 3억원 체크카드 매출 1억원

787만원

(신용 2.09%,
체크 1.6%)

490만원

(신용 1.3%,
체크 1.0%)

415만원

(신용 1.1%,
체크 0.85%)

75만원

(약 15%)

372만원

(약 47%)

중소

(연매출 5~10)

<CASE 카드매출 7

신용카드 매출 5억원 체크카드 매출 2억원

1,365만원

(신용 2.09%,
체크 1.6%)

920만원

(신용 1.4%,
체크 1.1%)

825만원

(신용 1.25%,
체크 1.0%)

95만원

(약 10%)

540만원

(약 40%)

중소

(연매출 10~30)

<CASE 카드매출 20

신용카드 매출 15억원 체크카드 매출 5억원

3,935만원

(신용 2.09%,
체크 1.6%)

3,050만원

(신용 1.6%,
체크 1.3%)

2,875만원

(신용 1.5%,
체크 1.25%)

175만원

(약 6%)

1,060만원

(약 27%)

 

참고 신용카드 매출세액공제 제도

 

◈ 연매출 10억원 이하 개인사업자의 신용카드 등 매출액*의 1.3%(’23년말까지 연간 1천만원 한도)를 부가가치세액에서 공제(부가가치세법 §46)

 

  * 신용·직불·선불카드 및 현금영수증, 직불·선불전자지급수단 매출액

 ** 현행 매출세액공제(1.3%, 공제한도 1천만원)제도를 ‘23년말까지 연장하는 부가가치세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 의결(’21.12.3일)

 

부가세 카드매출세액 공제를 고려한 연간 실질 카드수수료 부담 예시 >

<CASE 1> 연매출 2~3억 / 카드매출 2억원 (신용카드 1.5억원 + 체크카드 0.5억원)

 

‘17년 이전

’21년 개편

(-) 연간 수수료 부담(%)

245만원 (신용 1.3%, 체크 1.0%)

87.5만원 (신용 0.5%, 체크 0.25%)

(+) 연간 매출세액공제(%)

260만원 (1.3%)

260만원 (1.3%)

실질이익(부담)

+15만원 이익

+172.5만원 이익

 

<CASE 2> 연매출 5~10억이하 / 카드매출 7억원 (신용카드 5억원 + 체크카드 2억원)

 

‘17년 이전

’21년 개편

(-) 연간 수수료 부담(%)

1,365만원 (신용 2.09%, 체크 1.6%)

825만원 (신용 1.25%, 체크 1.0%)

(+) 연간 매출세액공제(%)

910만원 (1.3%)

910만원 (1.3%)

실질이익(부담)

455만원 부담

+85만원 이익

 


5

 

제도 개선 TF 운영

 

 ‘12년 적격비용 기반 수수료 체계 도입 이후 가맹점수수료 부담이 크게 경감되었습니다. 

 

ㅇ 특히, 연매출 3억원 이하 영세가맹점의 수수료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우대수수료 적용 대상도 연매출 2억원 이하(‘12년)에서 30억원 이하(’18년~)로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 (연매출 3억 이하) ‘12년 前 수수료율 최대 약 4.5% ⟶ ’21년 0.5%

 

□ 그러나제도 시행 후 카드사가 본업인 신용판매에서 수익을 얻기 어려워짐 따라 카드론이 확대되고 소비자 혜택은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이에 소비자가맹점카드업계 중심으로 제도개선 TF를 구성*하여 이해관계자 간 상생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 (구성예시) 금융위, 금감원, 영세·소상공인단체, 여신금융협회 및 카드사, 소비자단체 등

 

➊ 적격비용 기반 수수료 제도가 신용판매 부문의 업무원가와 손익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재점검

 

신용판매 부문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소비자 혜택 축소 방지

 

➋ 차기 재산정 주기 조정  제도보완 방안 검토

 

 * (참고) ‘18~’20년은 최저수준의 조달금리를 유지하였으나, ‘21년말부터 급격한 금리인상이 이루어지고 있어 카드수수료 재산정시 수수료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필요

 


6

 

카드 산업 경쟁력 강화

 

□ 카드사가 결제·금융상품 추천·자금관리·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종합플랫폼 사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겠습니다.

 

➊ (업무범위) 카드사가 하나의 앱에서 다양한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One-stop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금융플랫폼” 이 가능하도록 겸영·부수업무 범위를 합리적으로 확대*

 

 * 예)여전업감독규정상 신고없이 영위 가능한 부수업무 중 플랫폼 관련 사업은 “통신판매업” 으로 한정되고 있으나,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는 데 있어 필요한 지급결제 관련 사업을 적극 발굴하여 허용 예정 (☞ ‘22.上, 연구용역 등 추진)

 

- 또한, 카드사가 핀테크 社 등에 비해 종합플랫폼 경쟁력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적극 발굴 및 검토*

 

 * 예)일정 범위 내, 카드사간 모집업무 제휴계약을 통해 카드사 앱에서도 다수 카드사의 카드 비교·추천이 가능토록 허용하는 방안 등 검토 (규제샌드박스 등)

 

 ※ 현재 여전법상 카드 모집시 1社 전속주의의 예외인 “제휴 모집인 제도” 는 신용카드 모집이 본업이 아닌 경우에만 가능

 

➋ (데이터 경쟁력) 카드사 지급결제 서비스 등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더 잘 활용·유통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단계적으로 강화

 

(i) 기존 본인신용정보관리업(Mydata), 개인사업자 신용평가업, 빅데이터 분석업무 등에 더하여 데이터 관련 부수·겸영업무 확대

 

 * 예)00카드의 가명정보 데이터 결합 전문기관 업무를 부수업무로 기허용(‘21.12월)

 

(ii) 카드사가 보유한 지급·결제정보를 마이데이터 사업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개선 추진 (규제샌드박스 운용 병행)

 

 * 카드사가 마이데이터 사업 목적에 한해 가맹점 사업자등록번호를 가맹점주 동의없이 활용할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 기지정(‘21.10월)

 

(iii) 카드사가 보유한 지급·결제정보에 더해, 비금융 플랫폼 정보 등도 활용한 대안신용평가 등을 통해 씬파일러(Thin-filer)들도 카드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안 등도 검토

 

※ 현재 신용카드 발급시 신용평가 업무 등은 카드사의 본질적 업무로서 원칙적으로 위탁이 제한되어 지정대리인 제도 등을 통해 제한적으로 운영중

 

➌ (인프라 경쟁력) 카드사가 결제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 안전·편리한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 예) (종전) 실물 신용카드단말기를 전제로 기술기준 운영 → (개선) 모바일 앱 방식 신용카드 단말기도 실물카드 단말기와 동일한 보안성을 가지면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예정

 

➍ (핀테크 출자 지원) 현재 운영중인 핀테크 투자 가이드라인(‘19.10월~) 범위 내카드사의 핀테크기업 출자 등을 적극 검토

 

 * 핀테크 투자 가이드라인(행정지도)은 금산법 또는 개별법상 출자제한 요건 등 법률상명백히 금지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핀테크기업에 대한 출자를 허용

 

➎ (디지털 혁신 지원) 카드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개선 방안도 적극 발굴

 

 * 예)서면교부 원칙이었던 카드상품 약관을 전자문서 교부원칙으로 변경(법률 개정 추진)

 


7

 

향후 계획

 

□ 12.24일(잠정)여전업감독규정 개정안 입법예고 (~12.31일)

 

□ 법제처 사전심사, 규개위 심사 등을 거쳐 1월말 금융위 의결 ⟹ ‘22.1.31일 부터 시행 계획 (※ 차기 우대가맹점 선정일자)

 

□ 카드산업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이해관계자 간 상생을 위한 제도개선 TF를 구성 (‘22.1분기중)

 

 ※ PG 하위가맹점 중 국세청 과세자료 등을 통해 신규사업자로 확인된 가맹점에 대해 우대수수료 소급적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도 추진 중이며, ‘22.1월 개업한 신규사업자부터 적용예정

 

 * (~‘22.4월) 국세청 연계 시스템 등 구축 ⟶ (’22.5~6월) 시스템 테스트 ⟶ (‘22.7월) 우대가맹점 선정과 함께 ’22.1월부터 개업한 신규사업자에 대한 우대수수료 소급적용 실시


출처 : 금융위원회(https://www.fsc.go.kr/po010104/77120?srchCtgry=4&curPage=1&srchKey=sj&srchText=&srchBeginDt=2021-08-06&srchEndDt=2022-06-22)




이전글 신용협동조합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다음글 외화보험 설계·판매시 소비자 보호가충실하게 이루어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