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_visual01 sub_visual01
Seoul Financial Hub

알림∙소식

세계 경제 뉴스

내년 韓 경제 성장률 2% 전망…수출은 5.6% 증가

언론사 : 머니투데이 │ 보도일시 : 2023. 11. 20

기사 원문 링크 : http://news.moneytoday.co.kr/view/mtview.php?no=2023112014583337459&type=2
[머니투데이 세종=최민경 기자] 산업연구원이 내년도 국내 경제 연간 성장률을 2%로 전망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1.4%보다 0.6%p(포인트) 올려 잡았지만 여타 기관의 전망치 2%대 초반에 비해 보수적 전망이다.

고물가와 고금리로 내수 성장세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은 반도체 등 IT(정보통신기술) 경기 회복에 힘입어 5.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연구원은 20일 '2024년 경제·산업 전망' 발표를 통해 내년 국제유가 83달러 내외, 환율 1280원 내외 전망 속에 국내 연간 성장률을 2%로 전망했다. 고물가·고금리 영향으로 소비 성장세가 둔화되고 건설투자가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내년 경제성장률은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내놓은 전망보다 소폭 낮다.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1%로 예측했다.

박성근 산업연구원 동향·통계분석본부 연구위원은 "다른 기관보다 IT경기 회복 정도를 더 완만하게 봤다"며 "반도체 등 IT 수출이 덜 회복되면 성장 전망을 더 낮춰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내년 민간소비는 고물가와 고금리의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올해 대비 1.9%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서비스 소비 부문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지만 △고금리와 높은 가계부채로 인한 이자부담 확대 △금융 부문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자산가치의 하락 △고물가에 따른 구매력 약화 등으로 성장에 제약이 있다는 설명이다.

내년 설비투자는 2.1% 증가하는 반면 건설투자는 0.2% 감소할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친환경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차업종의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 반도체 업황의 완만한 회복과 관련 주요 기업들의 계획된 투자 집행, 기저효과 등에도 힘입어 소폭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건설투자는 정부 SOC(사회간접자본) 예산과 토목건설 수주 증가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미분양이 증가하고 신규 인허가·착공, 건설 수주액 등 선행지표들이 부진함에 따라 올해에 비해 소폭 감소할 것이란 관측이다.

내년 수출입은 올해보다 개선될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올해 수출 부진 기저효과로 내년 수출은 5.6% 증가하고 수입은 0.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무역수지는 265억 달러 흑자를 낼 것으로 관측했다.

수출은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는 가운데 자동차가 견조한 수출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입은 수출 업황 개선에 따른 중간재 수입 증가와 유가 하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국내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석유화학(-0.5%), 이차전지(-2.6%)를 제외한 대다수 산업에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13대 주력산업 수출액은 5047억달러로 지난해 4799억달러 보다 5.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3대 주력산업에 대한 대중 수출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상황이 좋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유럽 등 중국을 제외한 주요 수출국 수요는 인프라 구축 및 공급망 내재화 등의 영향으로 소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연구원은 중국의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발(發) 경기하방 압력으로 일반기계, 석유화학, 섬유 등에서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ICT 제품의 생산 증가로 중국 내 반도체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봤다.

박 연구위원은 "EU와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친환경 인프라 사업 관련 기계·철강 수요가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중국에 석유화학·소재 수출을 의존하는데 중국 경기가 살아날 것으로 보지 않아 소재 산업 수출은 올해 정도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경제의 대외적 불확실성 요인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진정 여부 △주요국들의 고금리 지속에 따른 금융 부문의 불안정성 △전쟁 등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확실성 △반도체 경기의 회복 속도를 꼽았다. 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문제의 현실화를 주요 불확실성 요인으로 꼽았다.



이전글 물가 목표 2% 정답일까?…"골대 옮기자" 주장 나오는 이유
다음글 中 기준금리 석달 연속 동결… 美 격차 확대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