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서울국제금융오피스 사진 서울국제금융오피스 사진
Seoul Financial Hub

알림∙소식

세계 경제 뉴스

세계 경제 뉴스 상세페이지

"점심값 비싸" 직장인들 구내식당 우르르…뜨는 '급식시장'

언론사 : 머니투데이 │ 보도일시 : 2025. 06. 09

기사 원문 링크 : http://news.moneytoday.co.kr/view/mtview.php?no=2025060908560956856&type=2
[머니투데이 방윤영 기자] 고물가로 외식 비용이 오르는 '런치플레이션'(Lunch+Inflation) 현상으로 단체 급식 수요가 확대돼 지난해 대형 식자재 유통 기업들이 성장세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 내 대형 M&A(인수·합병)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삼정KPMG는 9일 '10대 트렌드로 살펴본 식자재 유통·단체급식 시장의 현주소'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국내 식자재 유통 시장은 오랫동안 영세업체 중심이었으나 대기업의 중심으로 구조적인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대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20~30% 수준이지만 대규모 물량 조달력과 물류 인프라, 비즈니스 솔루션 역량을 앞세워 점차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 있다.

지난해 사조그룹이 푸디스트를 2500억원에 인수했고, 올해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아워홈 지분 58.6%를 8695억원에 매입했다. 기업들은 식품 가공·제조 등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을 전략적으로 인수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식자재 유통 시장의 디지털 전환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기존 대면·전화 주문 방식에서 온라인 플랫폼 기반 주문으로 전환되며 거래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자동화 물류, 콜드체인 시스템, 지역 마트와의 협업 등을 통해 고객 편의성도 높아진다.

기업들은 기존 역량을 바탕으로 외식 솔루션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다. 중소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컨설팅과 브랜드 출시 지원 등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외식업 전 단계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 도입도 확산하고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구내식당 혼잡도를 자동 측정해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AI 피플카운팅' 서비스를 개발했다. 삼성웰스토리는 식판을 AI로 스캔해 음식물 잔반의 종류와 양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K푸드의 인기에 따라 해외에서 K급식 수요도 높아진다.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등 주요 급식 기업들은 해외에 진출한 그룹사 물량에 의존하는 경우가 다수였으나 최근에는 미국·베트남·유럽 등에 진출해 현지 사업장을 늘려가며 입지를 다지고 있다.

보고서는 단체급식 외에도 외식 솔루션, 컨세션, 아파트 식음 서비스 등 신사업 모델을 통해 수익을 다변화하고 식수 감소에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K푸드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수요 확대를 활용해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을 조언했다.

한상일 삼정KPMG 유통·소비재 산업 리더(부대표)는 "국내 식자재 유통 시장이 영세업체 중심에서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되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식자재 유통 기업은 디지털 전환, 프리미엄 급식, 글로벌 확장 등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점심값 비싸' 직장인들 구내식당 우르르…뜨는 '급식시장' 관련사진1



이전글 다음글을 구분한 표
이전글 "금융감독 전담 ‘금감위’ 필요 금융정책은 기재부로 넘겨...
다음글 '채권시장 현안부터 전망까지...'미래에셋증권, 코리아 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