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서울국제금융오피스 사진 서울국제금융오피스 사진
Seoul Financial Hub

서울국제금융오피스

서울국제금융오피스 프로그램

서울시 서울시 서울시
  • 주최 서울특별시, 서울국제금융오피스
  • 장소 여의도 One IFC 16층 서울국제금융오피스
  • 내용

안녕하세요.

 

서울국제금융오피스(Seoul Financial Hub)입니다.

 

지난 8 23일에 진행 되었던 네 번째 금융 Booklunch 핵심 내용을 공유해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이언트 임팩트] 저자, 박종훈 기자

" 인플레이션, 금리, 환율, 고물가 등 글로벌 경제 이슈 분석"

 

- 일시: 2024 8 23(), 11:20~12:50 (1시간 30)

- 장소: 서울국제금융오피스(국제금융로 10 One IFC 16)


alt=
 

갓생사는 여의도 직장인의 금융지식까지 채우는 점심시간 2024 SFH Connect 금융 북런치
책 : 자이언트 임팩트
저자 : 박종훈 기자(경제전문기자.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부 박사, 전) KBS 보도본부 통합뉴스룸 경제부장, 2007 한국방송대상 올해의 보도기자상 수상, <부의 시그널>,<부의 골든타임>,<2020부의 지각변동>,<박종훈의 대담한 경제>,<지상 최대의 경제사기극 세대전쟁> 외 다수
인플레이션, 금리, 환율, 고물가 등 글로벌 경제 이슈 분석
종이화폐가 등장한 이후로 인플레이션은 우리와 항상 함께 해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40년은 세계화라는 특이한 현상 덕분에 인플레이션이 거의 없었던 기적 같은 시기였습니다. 이제 세계화가 끝나고 각 나라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상황에서,
우리는 1970년대처럼 3~4년마다 반복되는 인플레이션 주기를 다시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박종훈 기자 강연 중 -
1인플레이션의 귀환과 2024 하반기 금융환경
2 금리 하락의 시작? 2024년 전망
3 AI혁명? 미래 경제의 판을 바꾸다
4 중국 패권 도전과 전쟁 위기
5 3차 에너지 전환! 위기 vs 기회
1 인플레이션의 귀환과 2024 하반기 금융환경
탈세계화, 고령화, 재정정책 : 인플레이션 발생의 주요 원인
과거 1970년대 4년 주기로 인플레이션이 온 것을 볼 때 25년 하반기나 26년에 다시 올 수 있죠
The global economic issue : 1 탈세계화의 원인, 브랑코 밀라노비치의 코끼리 곡선 2 고령화로 인해 지속적인 인금 상승 3 재닛 옐런의 단기 국채 발행
2 금리 하락의 시작? 2024년 전망
성장률 하락-부채를 만들어 투자-금리하락
우리나라 성장률은 앞으로도 계속 낮아질 겁니다. 이렇게 너무 당연하게 말씀드려서 죄송한데 어쩔 수가 없어요. 그거는 우리나라 인구구조상 불가능합니다
BUT, 아래 세가지 큰 변화를 지나 중금리 시대가 올 것 1 중국의 저축 형태 2 Fed의 화폐 발행 3 패권전쟁과 미국경제
The global economic issue : 1 미국의 재정적자는 GDP 대비 - 6.2% 2 지난 7월 31일 부터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3 미국 대선을 앞두고 주가를 부양을 위한 부채 발행
3 AI혁명? 미래 경제의 판을 바꾸다
AI는 소셜 미디어와 달리 *네트워크 효과가 없으며, 이는 곧 가격경쟁을 유발하게 될 것!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 :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 가치가 더 커지는 현상
AI의 가격 경쟁 핵심 요소 : 현재-GPU 미래-에너지
한번의 환멸 단계를 거쳐 소비자와의 접점을 만들어 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전시키고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 그 기업이 미래를 지배할 겁니다
4 중국 패권 도전과 전쟁위기
열전(戰)의 조건 : 1 경제력과 생산력이 뒷받침될 때 2 경제적 쇠퇴가 예상될 때
한 영국 기관(IMF, Capital Economics)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국의 GDP 미국을 영원히 넘어서지 못할 것, Danger Zone'에서는 2022년 기준으로 10년 안에 중국이 대만을 칠것이다라고 경고를 합니다.
전쟁 지속의 핵심은 식량과 석유 : 중국은 티안푸그린웨이를 공원을 농지로 전환하고 미얀마와 파키스탄 송유관을 통해 석유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5 3차 에너지 전환! 위기 vs 기회
배터리로 전환 속도 5년 이상 늦어질 것 : 1 정부는 재정부담으로 보조금 지원이 어려움 2 물가상승이 전환 속도를 늦추고 있음
위기 : 석유업체들은 에너지 전환을 의식해 투자를 줄였고, 배터리 전환이 5년 이상 늦어지면 미래에 석유 공급 부족을 초래할 것
기회 : 에너지 전환 지연으로 수소 에너지 개발에 기회가 열렸고, 지금의 경제적 혼란기는 추격자들이 기회를 잡을 시기가 될 것
 

SNS 공유하기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로 구분한 표